농부 이시도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부 이시도르는 1070년경 또는 1082년경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태어난 농부로,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기적을 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마리아 토리비아와 결혼하여 아들을 두었으며, 아들이 우물에 빠졌을 때 기적적으로 구출된 후 부부는 금욕 생활을 서약했다. 이시도르는 1130년 5월 15일에 사망했으며, 2022년 유해에 대한 법의학적 연구 결과 35세에서 45세 사이의 나이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는 농부, 소작농, 일용직 노동자, 농업 및 벽돌공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았으며, 1622년 시성되었다. 그의 삶과 기적은 그림, 시, 음악, 영화 등 다양한 형태로 대중문화에 영감을 주었으며, 스페인, 칠레, 페루, 필리핀 등지에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부 - 이새
이새는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다윗 왕의 아버지로, 유다 지파 베들레헴 출신의 농부이자 사육사이며,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인물이다. - 농부 - 아모스 (예언자)
기원전 8세기 북이스라엘의 예언자 아모스는 양치기이자 돌무화과 농부로서, 사회 정의 실현과 도덕적 회복을 촉구하며 이스라엘의 죄악을 비판했고 그의 메시지는 아모스서에 기록되어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기념된다.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가 시성한 성인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1506년 나바라 왕국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예수회 창립에 참여하여 인도, 일본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다 중국에서 사망한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회 선교사이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가 시성한 성인 - 필립보 네리
필립보 네리는 16세기 로마에서 활동하며 오라토리오회를 창설하여 가톨릭 교회 쇄신에 기여하고 유머와 쾌활함으로 사랑받은 이탈리아 사제이자 성인이다. - 기독교와 동물 - 세인트 버나드
세인트 버나드는 스위스와 이탈리아 국경에서 유래한 대형견으로, 조난자 구조견으로 활약하며 많은 생명을 구출했고, 뉴펀들랜드와의 교배를 통해 품종을 유지, 스위스의 국견으로 지정되었으나, 유전 질환에 취약하며 대중문화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 기독교와 동물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12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가톨릭 성인이자 프란치스코회의 창시자로, 세속적인 삶을 버리고 가난과 봉사의 삶을 통해 청빈, 겸손, 헌신을 강조하며 복음을 전파하고 자연과 소외된 이들을 사랑했다.
농부 이시도르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고해 사제 |
출생 | 약 1070년 또는 1082년 |
출생지 | 마드리드, 톨레도 태파 |
사망 | 1130년 5월 15일 (59세) 또는 1172년 |
사망지 | 마드리드, 카스티야 왕국 |
축일 | 5월 15일, 10월 25일, 3월 22일 |
시복일 | 1619년 5월 2일 |
시복 장소 | 로마 |
시복자 | 교황 바오로 5세 |
시성일 | 1622년 3월 12일 |
시성 장소 | 로마 |
시성자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
상징 | 낫과 곡물 다발을 든 농부, 쟁기질하는 천사, 또는 천사와 흰 소 |
수호 |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산 이시드로 마드리드 농업 농부 일용직 노동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산 이시드로 칠레: 쿠즈쿠즈 페루: 아야쿠초 카람파 및 리마 필리핀: 불라칸주 풀릴란 남부 삼보앙가주 아우로라 리잘주 앙고노 말라이발라이 세부주 만탈롱곤 팡가시난주 라브라도르 카바온안, 레이테주 오르목, 바탕가스주 쿠엔카 디고스 산파블로 시티 산 이시드로 누에바에시하주 루파오 산 이시드로 케손주 루크반 라구나주 로스바뇨스 아노스 라구나주 칼람바 시티 마킬링 마린두케주 모그포그 리잘주 모롱 아클란주 나바스 카피스주 자민단 바예바예 서네그로스주 비날바간 서네그로스주 모이세스 파디야 케손주 사리아야 누에바에시하주 탈라베라 케손주 타야바스 세부주 탈리사이 산 이시드로, 케손주 구마카 미사미스옥시덴탈주 투델라 세부주 산페르난도, 세부주 타브곤 미사미스옥시덴탈주 칼람바 카마리네스수르주 나가 산 이시드로 산루이스 산 이시드로 바탕가스 시티 산 이시드로 타를라크 시티 산 이시드로, 팜팡가 마발라캇 시티, 팜팡가 푸에르토리코 사바나그란데 스페인: 카스텔라, 에스테포나, 마드리드, 카나리아 제도 오로타바, 발데피엘라고스 보홀 온두라스: 라 세이바 |
숭배 대상 | 로마 가톨릭 교회 성공회 필리핀 독립 교회 |
2. 생애
이시도르는 1070년경 또는 1082년경 마드리드에서 가난하지만 신앙심 깊은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부모가 존경하던 세비야의 성 이시도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6] 당시 마드리드는 이슬람 세력인 톨레도 타이파의 지배하에 있었으나, 1083년 또는 1085년에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이시도르는 평생을 마드리드 근교에서 부유한 지주였던 후안 데 바르가스의 하인으로 일하며 농사를 지었다.[2] 그는 매우 자비로워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음식까지 나누어 주었다고 전해진다.[7] 그의 성실함과 신앙심을 인정한 후안 데 바르가스는 나중에 그를 로워 카라마카에 있는 자신의 모든 영지를 관리하는 관리인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2. 1. 결혼과 가족
이시도르는 스페인에서 Santa María de la Cabeza|산타 마리아 데 라 카베자spa로 알려진 마리아 토리비아와 결혼했다. 그녀는 아직 시성되지 않았으며, 교황 프란치스코의 확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시도르와 마리아는 아들 하나를 두었다.[2]한 번은 그들의 아들이 깊은 우물에 빠지는 사고가 있었는데, 부모가 간절히 기도하자 우물의 물이 기적적으로 지면까지 솟아올라 아이를 안전하게 데리고 올라왔다고 전해진다. 이 일에 감사하며 이시도르와 마리아는 순결을 지키기로 서약하고 이후 각자 다른 집에서 살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의 아들은 안타깝게도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2. 2. 사망
이시도르는 1130년 5월 15일에[3] 마드리드 근처의 자신의 출생지에서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유일한 공식 자료에는 그의 사망 연도가 1172년으로 기록되어 있다.[4]2022년,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연구팀은 이시도르의 유해에 대한 법의학적 연구를 수행했다.[5][6] 연구 결과, 그의 목구멍에서는 카스티야의 엔리케 4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사자 문양이 새겨진 동전이 발견되었다. 유해에서 확인된 유일한 활동성 질환은 치아 농양이었으며, 연구자들은 이것이 사망 원인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 또한, 사망 당시 이시도르의 연령은 35세에서 45세 사이였고, 키는 167cm ~ 186cm 사이로 추정되었다. 두개골 분석 결과, 아프리카계 인종적 특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5][6]
3. 기적 이야기
이시도르 성인의 삶에는 그의 깊은 신앙심과 가난한 이웃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는 수많은 기적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9] 이러한 이야기들은 그가 성인으로 추대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으며, 특히 농민과 노동자, 마드리드 시민들의 수호성인으로서 존경받는 배경이 된다.
주요 기적으로는 천사의 도움으로 농사일을 했다는 이야기,[7] 부족한 식량이 늘어나 굶주린 이들을 먹인 이야기,[8] 병자를 치유하고 죽은 이를 살렸다는 이야기,[7] 메마른 땅에서 샘물이 솟게 한 이야기 등이 있다.[7] 또한 그의 시신은 사후 수십 년이 지나서도 부패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었다는 기록도 있다.[4][10] 이러한 기적 이야기는 스페인 왕족에게도 영향을 미쳤는데, 펠리페 3세는 이시도르 성인의 성유물을 통해 병이 낫자 그의 시복을 추진하기도 했다.[9] 기록에 따르면 그와 관련된 기적은 총 438가지에 달한다.[9]
3. 1. 천사의 도움
이시도르는 아침에 일하러 가기 전 마드리드의 교회에서 미사에 참석하는 습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종 일터에 늦곤 했는데, 어느 날 동료 농부들이 주인에게 이시도르가 아침마다 늦는다고 불평했다. 주인이 이를 확인하러 갔을 때, 이시도르가 기도하는 동안 천사가 대신 밭을 갈고 있는 것을 목격했다.[7]또 다른 일화에서는 주인이 이시도르의 양옆에서 천사들이 함께 밭을 가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이 천사들의 도움 덕분에 이시도르는 혼자서 동료 세 사람 몫의 일을 해낼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7]
3. 2. 식량 기적

이시도르가 보여준 기적 중에는 식량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어느 눈 오는 날, 이시도르는 곡물을 빻기 위해 방앗간으로 가던 중, 얼어붙은 땅에서 먹이를 찾는 비둘기 떼를 만났다. 그는 동물들을 불쌍히 여겨, 주변 사람들이 비웃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가진 귀한 밀 자루의 절반을 새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런데 방앗간에 도착해 보니 자루는 다시 가득 차 있었고, 그 곡물을 빻자 예상했던 양보다 두 배나 많은 밀가루가 나왔다고 한다.
또한, 이시도르의 아내 마리아는 남편이 가난하고 배고픈 사람들을 자주 집으로 데려왔기 때문에, 항상 스튜 냄비를 준비해 두었다. 하루는 이시도르가 평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을 데리고 왔다. 마리아가 여러 사람에게 스튜를 퍼주고 나서 냄비가 비었다고 말하자, 이시도르는 아내에게 냄비를 다시 확인해 보라고 권했다. 마리아가 다시 확인했을 때, 냄비에는 데려온 모든 사람을 먹이고도 남을 만큼 충분한 스튜가 기적적으로 채워져 있었다.[8]
3. 3. 기타 기적
이시도르가 기도하는 동안 천사가 대신 밭을 갈아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동료들이 이시도르가 늦는다고 불평하자 주인이 이를 확인하러 갔다가 발견했다고 한다.[7] 또한, 천사 둘이 이시도르 양옆에서 밭을 갈아 혼자서 세 사람 몫의 일을 해냈다는 이야기도 있다.[7] 이시도르는 주인의 죽은 딸을 되살리고, 주인이 목말라하자 마른 땅에서 샘물이 솟아나게 했다는 기적도 행했다고 전해진다.[7]눈 오는 날, 곡식을 빻으러 가던 중 굶주린 비둘기 떼를 보고 가엾게 여겨 가지고 있던 귀한 밀 자루의 절반을 나눠주었다. 주변 사람들은 이를 비웃었지만, 방앗간에 도착했을 때 밀 자루는 다시 가득 차 있었고, 빻은 밀가루의 양도 예상보다 두 배나 많았다고 한다.
이시도르의 아내 마리아는 남편이 자주 굶주린 이들을 데려왔기에 항상 스튜 냄비를 준비해두었다. 어느 날 평소보다 많은 사람들을 데려와 스튜가 바닥났지만, 이시도르가 아내에게 다시 확인해보라고 하자 냄비에는 모든 사람에게 나눠줄 만큼 충분한 스튜가 다시 생겨났다고 한다.[8]
1212년 4월 2일, 폭우로 마드리드의 묘지가 파헤쳐졌을 때, 부패하지 않은 이시도르의 시신이 발견되었다.[4] 이는 그의 사후 약 40년이 지난 시점이었다.[10]
또한 1212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는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 앞에 나타나 무어인을 기습할 수 있는 숨겨진 길을 알려주어 승리에 기여했다는 전설도 있다.[7] 스페인 펠리페 3세는 이시도르 성인의 유물에 손을 댄 후 치명적인 병에서 회복되었고, 이에 감사하며 낡은 성유물함을 은으로 만든 값비싼 것으로 교체하고 이시도르의 시복 절차를 추진하게 했다.[9] 이후 다른 스페인 왕족들도 그의 유물을 통해 병의 치유를 기원했다고 전해진다.
이시도르에게 행해졌다고 전해지는 기적은 총 438가지에 달한다고 한다.[9] 그의 성인전 중 가장 오래된 원본 자료는 14세기 필사본인 Codice de Juan Diacono|코디체 데 후안 디아코노la로, 여기에는 다섯 가지 기적(비둘기와 곡식, 천사가 밭을 가는 이야기, 기도로 늑대에게서 당나귀를 구한 이야기, 아내의 음식 냄비 이야기, 형제단을 먹인 이야기)과 함께 그의 시신이 사후 40년이 지나도 부패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0]
4. 시성
이시도르는 1619년 5월 2일 교황 바오로 5세에 의해 로마에서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아빌라의 테레사, 필리포 네리와 함께 복자로 선포되었다.[11] 그의 복자 칙서는 1621년 3월 12일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에 의해 발표되었으며,[12] 1622년 3월 12일에 시성되었다.[11] 시성 칙서는 1725년 6월 4일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발표되었다.[13]
5. 숭배
이시도르는 1619년 5월 2일 교황 바오로 5세에 의해 로마에서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아빌라의 테레사, 필리포 네리와 함께 복자로 선포되었고, 1622년 3월 12일 시성되었다.[11] 복자 칙서는 1621년 3월 12일 교황 그레고리오 15세에 의해 발표되었고,[12] 시성 칙서는 1725년 6월 4일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발표되었다.[13]
그의 축일은 가톨릭 교회에서는 5월 15일에 기념하며,[11] 필리핀 독립 교회에서도 기념한다.
5. 1. 수호성인
성 이시도르는 농부, 소작농, 일용직 노동자, 그리고 일반적인 농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벽돌공의 수호 성인으로 널리 존경받는다. 그의 고향인 마드리드를 비롯하여 스페인의 레온, 사라고사, 세비야와 같은 도시들, 그리고 옛 스페인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도 그를 수호성인으로 모신다. 미국 가톨릭 농촌 생활 회의는 그를 수호성인으로 칭한다.[15] 미국의 샌 이시드로 (캘리포니아)와 샌 이시드로 (뉴멕시코)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지역이다.
5. 2. 유해
1696년, 이시도르의 유해는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의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마드리드 왕궁으로 옮겨졌다. 유해가 왕궁에 있는 동안, 왕의 자물쇠 기술자가 그의 시신에서 이를 뽑아 왕에게 주었고, 왕은 죽을 때까지 베개 밑에 이를 놓고 잤다고 전해진다. 이는 그의 시신이 종교적 열정으로 훼손된 유일한 사례는 아니었다. 예를 들어, 카스티야 여왕 이사벨 1세의 궁정 여인 중 한 명이 그의 발가락을 물어뜯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1760년에는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의 병환 중에 그의 시신이 다시 마드리드 왕궁으로 옮겨졌다.
1769년,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는 성 이시도르와 그의 아내 마리아의 유해를 마드리드 산 이시드로 성당으로 옮겼다.[4] 이 묘지에는 아홉 개의 자물쇠가 있으며, 스페인 국왕만이 마스터 키를 가지고 있다. 묘지를 열기 위해서는 마드리드 대교구의 집행과 국왕의 허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1985년 이후로는 묘지가 개방된 적이 없다.[14]
6. 유산
성 이시도르의 이야기는 노동의 존엄성과 평범한 삶이 성스러움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15] 천사의 조력자와 신비로운 황소에 대한 전설은 그의 일이 소홀히 여겨지지 않았고 그의 의무가 제대로 이행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 이시도르의 삶은 "만약 당신의 영적인 자아가 제대로 정돈되어 있다면, 당신의 세속적인 책임 또한 제대로 정돈될 것이다."라는 점을 보여준다.[16]
6. 1. 박물관

마드리드에 있는 그의 주인이었던 후안 데 바르가스의 집은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산 이시드로의 집"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서는 마드리드의 역사와 성 이시도르의 삶에 대한 임시 전시회가 열린다.[19] 이 박물관은 산 이시드로 교회와는 다른 곳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박물관 안에는 이시도르가 살고 죽었던 곳에 지어진 예배당과 그의 아들이 빠졌다가 기적적으로 구출된 우물이 있다.
7. 대중문화
그의 삶과 기적은 그림, 로페 데 베가의 시,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1964년에는 라파엘 J. 살비아 감독이 영화 "이시드로, 농부"를 제작했다. 이 영화에서는 하비에르 에스크리바가 성인 이시도르 역할을 맡았다.[17]
8. 축제
성 이시도르의 축일은 5월 15일로,[18] 로마 일반 전례력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여러 나라와 교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된다. 많은 지역에서는 그의 아내 복자 마리아 토리비아와 함께 밭을 축복하는 행렬을 열기도 한다.
8. 1. 스페인
성 이시도르의 전례 축일은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여러 국가와 교구에서 수세기 동안 기념되어 왔으며, 날짜는 5월 15일이다.[18] 많은 마을에서는 성 이시도르와 그의 아내 복자 마리아 토리비아를 기리며 밭을 축복하는 행렬을 벌인다.
마드리드의 가장 유명한 축제 중 하나는 5월 15일에 열리는데, 이는 이 도시의 수호성인이자 농부들의 수호성인인 이시도르의 축일이다. 전통적인 축제는 "프라데라 델 산토"로 알려진 야외 지역에서 열린다. 오후에는 산 이시드로와 그의 아내 산타 마리아 데 라 카베자 상이 칼레 델 사크라멘토에서 플라자 데 라 빌라까지 칼레 델 코르돈을 거쳐 거리를 행진한다.[19]
산 이시드로를 기리는 축제는 안달루시아에서 국가 관광 명소로 지정되었으며 말라가주에서 가장 중요한 축제 중 하나이다. 이 축제는 산 이시드로가 마을의 공동 수호성인인 알라메다에서 매우 인기가 높다.[20]
두 성인을 기리는 축제는 스페인 다른 지역에서도 열린다. 수년 동안 알리칸테의 카스탈라 지역에서는 수많은 회사들이 유쾌하고 축제적인 분위기에서 제품을 전시하는 산 이시드로 박람회를 개최해 왔다. 중세 시대의 벼룩시장과 기계식 놀이기구가 특히 인기가 많다.
말라가 남쪽과 안테케라 중간 지점에 위치한 캄포의 "푸에블로 블랑코"인 알모히아에서 열리는 로메리아 축제는 5월 중순 주말에 산 이시드로, 즉 수호 성인을 기리는 축제로, 축제는 카니발 형식으로 진행된다. 전통 의상을 입은 여성과 춤추는 말을 탄 기사들이 동반하는 주변 농업 공동체의 수레들은 알모히아에서 마을 북쪽 몇 킬로미터 떨어진 로메리아 광장까지 노래하고 춤을 추며 이동한다. 축제에는 음악, 전통적인 경마, 기수뿐만 아니라 말을 위한 바, 그리고 의상과 화려함을 과시하는 행진이 포함된다. 가장 잘 꾸며진 수레에는 상이 수여된다.
8. 2. 칠레
5월 15일은 칠레 쿠스-쿠스에서 산 이시드로 축일이다. 이곳은 칠레 코킴보 주 초아파 현의 일라펠 시에서 약 5km 떨어져 있다. 축일이 월요일에 해당하면, 그 다음 일요일에 기념 행사가 열린다. 축제는 정오에 미사로 시작하여, 행렬과 칠레 전통 춤 공연이 이어진다.8. 3. 페루
페루 리마 시의 아야쿠초주 '''산 이시드로 데 카람파''' 주민들은 성 이시도르 축제를 기념한다. 산 이시드로 데 카람파 최초의 협회는 집사 및 장식 축제와 함께 축제를 조직한다. 저녁에는 미사가 끝난 후 장식가의 집으로 행렬이 이동한다. 다음 날인 중앙의 날에는 집사가 집전하는 또 다른 미사가 열린다. 또 다른 행렬이 열리고 축제가 이어진다.
8. 4. 필리핀
필리핀은 인구 대다수가 가톨릭 신자이고 농업이 중요한 국가이기 때문에, 5월 15일 또는 그 무렵에 성 이시도르를 기리는 많은 축제가 열린다.[18] 각 지역별 축제는 다음과 같다.- '''세부 산페르난도''': ''시코이-시코이''(Sikoy-Sikoy) 축제는 바다 축제로, 거친 조류 속에서 그물을 이용하는 어법을 뜻하는 세부아노어 '시코이'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마을의 풍요로운 해양 생물을 기념하며, 5월 15일 축제일 전 일요일마다 열린다. 감사 의식과 함께 농장 및 바다 수확에 대한 인도, 보호, 풍요를 기원하는 기도가 진행된다.
- '''카가얀 주 알라카판''': ''아피트''(Apit) 축제는 '수확'을 의미하며, 한 해 동안의 수확에 대한 찬양과 감사를 드리는 행사이다. 5월 10일부터 15일까지 열린다.
- '''케손 주 아그단간''': ''사부간 응 비야야''(Sabugan ng Biyaya) 축제는 '축복의 나눔'이라는 뜻으로, 마을이 받은 축복에 대한 감사 행사이다. 종종 ''사부간'' 축제로 줄여 부른다.
- '''케손 주 사리아야''': 아과완 축제(Agawan)는 매년 5월 15일에 열리는 연례 수확 축제이다. 이 축제는 "행복한 대혼란"으로 알려져 있으며, 퍼레이드가 지나갈 때 사람들이 집집마다 매달아 놓은 상품과 기타 농산물을 장난스럽게 낚아채는 것이 특징이다. 다채로운 분탈 모자, 끈 콩, 바나나 잎 등이 장식에 사용된다. "아과완"이라는 이름은 마을의 전 교구 사제인 라울 엔리케스 신부가 만들었으며, 1999년에 시작되어 2024년에 25주년을 맞이했다.
- '''케손 주 루반''': 파히야스 축제(Pahiyas)는 풍성한 수확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성 이시도르와 복자 마리아를 함께 기리는 축제이다. 지역 가옥들을 수확물과 기타 농산물로 화려하게 장식하며, 축제가 끝난 후 이를 나누는 것으로 유명하다.
- '''마린두케 모그포그''': ''캉가''(Kangga) 축제는 성 이시도르의 축일인 5월 15일에 열린다. 농업 전통을 강조하며 풍성한 수확과 마을의 지속적인 번영에 감사를 표한다. 이 섬은 성주간마다 열리는 모리오네스 축제로도 유명하다.
- '''아클란 주 나바스''': ''바리우''(Bariw) 축제는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열린다. 성 이시도르를 마을의 수호성인으로 기리며, 모자나 매트와 같은 마을의 ''바리우'' 제품과 독특한 지역 명소를 선보인다.
- '''불라칸 주 풀릴란''': 축제 기간 동안 물소에게 옷을 입히거나 그림을 그리고, 산 이시드로 라브라도르 교회 앞에서 앞다리로 무릎을 꿇도록 훈련시키는 독특한 관습이 있다. 이는 성인에 대한 존경을 표하는 행위로 수행된다.
- '''누에바에시하 주''': 누에바에시하 주 산 이시드로와 누에바에시하 주 탈라베라 마을에서 성 이시도르를 기념한다. 이 주는 옥수수와 양파 외에 쌀이 주요 작물이라 종종 "필리핀의 쌀 창고"라고 불린다. 축하 행사는 축제일 일주일 전에 시작되며, 매일의 9일 기도, 미사, 행렬, 대중 오락 및 유원지(페랴)가 포함된다. 누에바에시하 주 루파오의 바랑가이 산 이시드로에서도 수호 성인으로 성 이시도르를 기념하며, 누에바에시하 주 탈루그투그의 로하스에서는 필리핀 독립 교회의 교회에서 5월 15일까지 15일 동안 성 이시도르 축제를 기념한다.
- '''팜팡가 주 칸다바''': 만다시그(Mandasig) 지역에서 5월 14일부터 15일까지 성 이시도르 축제를 기념한다.
- '''아클란 주 레조''': 5월 14일부터 15일까지 성 이시도르 축제를 기념한다.
- '''세부 주 포로''': 바랑가이 테기스(Teguis)에서 5월 15일과 그 다음 날 성 이시도르 축제를 기념한다.
- '''보홀''': 투비곤(Tubigon), 산 이시드로(San Isidro), 빌라르(Bilar) 마을에서 5월 15일에 성 이시도르 축제를 기념한다.
-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 카디스''': 바랑가이 반케로한(Banquerohan)의 시티오 카니파안(Sitio Canipa-an)에서도 매년 5월에 축제를 기념하며, 성인을 처음 기린 것은 1918년이었다.
- '''팜팡가 주''': 팜팡가 주 산 페르난도, 팜팡가 주 바콜로르, 팜팡가 주 마카베베 및 기타 마을의 여러 바랑가이에서 5월 15일에 성 이시도르 축제를 기념한다. 이들 지역에는 성인의 이름을 딴 바랑가이가 있다.
- '''남레이테 주''': 남레이테 주 히누낭간의 바랑가이 칼라기탄(Calagitan)에는 성 이시도르 농부 예배당이 있고, 바랑가이 카투블리안(Catublian)에는 성 이시도르 농부 교구가 있으며, 실라고(Silago) 역시 성 이시도르를 숭배한다. 이 세 곳은 필리핀 혁명 이후 가톨릭 교회에서 분리된 국교인 필리핀 독립 교회에 속하며, 분열 이전의 성인을 인정한다.
- '''다스마리냐스''': 바랑가이 살라왁(Salawag)에서 성 이시드로 축제는 살라왁의 성모 도착 축제와 함께 기념된다. 성 이시도르는 마을의 주요 수호 성인이며, 1987년부터 지역 교구의 부 수호 성인이다.
- '''나익''': 성 이시도르는 바랑가이 산 로케(San Roque)의 수호 성인이며, 나익 시 전체의 두 번째 수호 성인으로도 지정되어 있다. 5월 15일 성 이시도르 축제일, 교구는 온 마을과 함께 ''BIHISAKAHAN'' 축제를 기념하며, 토속 요리와 지역 특산품이 장식되어 모든 사람에게 제공된다.
- '''북사마르''': 팔라파그(Palapag)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축제를 기념하며, 특히 팔라파그의 카바리완(Cabariwan), 니파(Nipa), 캄페디코(Campedico), 마탐바그(Matambag), 나타워(Natawo), 나그보트탁(Nagbobtac), 나포(Napo), 방온(Bangon), 장투드(Jangtud), 마바라스(Mabaras), 마그사이사이(Magsaysay), 마나자오(Manajao) 및 상가이(Sangay)를 포함한 대부분의 바랑가이는 성 이시도르 농부를 수호 성인으로 기린다.
-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 삼보앙기타''': 성 이시도르 농부를 수호 성인으로 기리며 5월 15일에 축제를 기념한다.
- '''파라냐케 교구''': 산 이시드로 라브라도르 교구(San Isidro Labrador Parish)는 매년 5월 15일에 축제를 기념한다.
- '''라스피냐스 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다섯 상처 교구 성지(Diocesan Shrine of the Five Wounds of Our Lord Jesus Christ)에서 성 이시드로 라브라도르를 두 번째 수호 성인으로 모신다. 이 교구 아래에는 라스피냐스에서 산 이시드로의 첫 번째 예배당으로 알려진 카르멘시타 아드미랄(Carmencita Admiral)의 산 이시드로 라브라도르 예배당이 있으며, 그들은 매년 5월 15일에 성인 축제를 기념한다.
- '''라구나 주 룸반''': 16개의 바랑가이 중 5개의 바랑가이의 수호 성인이 산 이시드로 라브라도르이다. 과거 사제 부족으로 인해 교구에서는 각 바랑가이의 축제를 다른 날짜에 진행한다. 5월 15일에는 바랑가이 레윈(Lewin)과 와와(Wawa), 5월 20일에는 바랑가이 마이탈랑 1(Maytalang I), 5월 22일에는 바랑가이 칼리라야(Caliraya), 그리고 5월 둘째 주 일요일에는 바랑가이 마이탈랑 2(Maytalang II)에서 축제가 열린다.
8. 5. 미국
1947년, 전국 가톨릭 농촌 생활 회의의 요청에 따라 성 이시도르는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농부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되었다. 그의 축일이 1947년 처음 미국 달력에 추가되었을 때는 성 요한 세례자 라 살 축일이 여전히 5월 15일에 기념되고 있었기 때문에, 성 이시도르의 축일은 3월 22일로 지정되었으며 특별 미사와 경문이 포함되었다. 이후 1960년 전례서가 공포되면서 성 이시도르 축일은 미국에서 10월 25일로 변경되었다.1969년 개정된 로마 일반 전례력에 따라 성 요한 세례자 라 살의 기념일이 그의 사망일인 4월 7일로 옮겨지면서, 성 이시도르의 축일은 다시 5월 15일로 복원되어 선택적 기념일로 기념되고 있다.[18]
뉴멕시코주 코랄레스에서는 마을이 5월 15일에 산 이시드로 축일(San Ysidro Feast day)을 기념한다. 이 축제에서는 마타치네스 춤이 거리를 가로지르며, 이는 이 도시 축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참조
[1]
간행물
Roman Martyrology 2001 for 21st-century date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1910)
[2]
웹사이트
"The Lives or the Fathers, Martyrs and Other Principal Saints"
http://www.ewtn.com/[...]
D. & J. Sadlier, & Company
1864
[3]
웹사이트
St. Isidore the Labourer
https://www.newadven[...]
2021-10-26
[4]
웹사이트
Las idas y venidas del cuerpo incorrupto de San Isidro Labrador
http://www.abc.es/ma[...]
2016-11-21
[5]
뉴스
La cara y los datos del cuerpo de San Isidro: posible origen africano y fallecido a los 45 años
https://www.eldiario[...]
2022-11-29
[6]
웹사이트
Informe de reconocimiento forense del cuerpo de san Isidro Labrador. Avance
https://www.archimad[...]
Escuela de Medicina Legal y Forense.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22-11-29
[7]
웹사이트
St. Isidore – Our Patron Saint
https://web.archive.[...]
2016-11-21
[8]
웹사이트
Isidore and Maria, Patron Saints of Farmers
https://web.archive.[...]
National Catholic Rural Life Conference
2013-04-06
[9]
웹사이트
Los milagros más famosos de San Isidro
http://www.secretosd[...]
2013-05-15
[10]
웹사이트
Juan Diácono, el hombre "anónimo" que rescató la memoria de San Isidro
https://web.archive.[...]
2016-11-21
[1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Isidore the Labourer
http://www.newadvent[...]
2016-11-21
[12]
웹사이트
Bullarum Diplomatum Privilegiorum Sanc Rom Pont TOMO 12
https://archive.org/[...]
1867
[13]
웹사이트
Bullarum Diplomatum Privilegiorum Sanc Rom Pont TOMO 22
https://archive.org/[...]
1872
[14]
웹사이트
Tras los pasos de San Isidro por Madrid
http://www.abc.es/ma[...]
2016-11-21
[15]
웹사이트
Franciscan Media
https://info.francis[...]
2020-07-27
[16]
서적
Saint of the Day, Lives, Lessons, and Feast
http://www.americanc[...]
Franciscan Media
[17]
뉴스
El mito del San Isidro blanco frente a un origen africano: el estudio científico ignorado en su museo de Madrid
https://www.eldiario[...]
2024-05-15
[18]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19]
웹사이트
San Isidro, Madrid
http://www.gomadrid.[...]
2016-11-21
[20]
웹사이트
Festas de San Isidro Labrador (14-15 May) - Municipality of Alameda
http://visit.guide-s[...]
2020-07-27
[21]
웹인용
Informe de reconocimiento forense del cuerpo de san Isidro Labrador. Avance
https://www.archimad[...]
Escuela de Medicina Legal y Forense.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22-11-29
[22]
간행물
Roman Martyrology 2001 for 21st-century date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1910)
[23]
웹인용
Isidore and Maria, Patron Saints of Farmers
https://web.archive.[...]
National Catholic Rural Life Conference
2013-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